본문 바로가기
정보/경제

상속세 개편 면제한도 세율 계산기 공제 신고방법 등 완벽 정리

by 안둥글 2024. 8. 6.
300x250

 

상속세 개편 01

 

상속세 개편안이 곧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번 개편으로 인해 상속세율, 면제한도, 공제 항목 등이 대폭 변경될 예정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상속세 개편안의 주요 내용, 새로운 상속세율, 면제한도, 계산기 사용법, 공제 항목, 신고방법 및 기간에 대해 자세히 다룹니다.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상속세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상속세 신고와 절세 전략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

 

상속세 개편 02

상속세 개편

상속세 개편안이 정부로부터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번 개편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현재 50%에서 40%로 인하될 예정입니다.
  • 과세표준 구간 조정: 기존 5개 구간에서 4개 구간으로 축소됩니다.
  • 최저세율 적용 범위 확대: 과세표준 1억 원 이하에서 2억 원 이하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 개편안은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주요 목표는 세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상속세 납부 의무를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상속세율

새롭게 도입될 상속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구간 세율
2억 원 이하 10%
2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20%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30%
10억 원 초과 40%

 

이 표를 통해 상속세율의 변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계산기 사용법

상속세 계산기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제공됩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속재산의 총액을 입력합니다.
  2. 각종 공제항목(기본공제, 자녀공제, 배우자공제 등)을 차감합니다.
  3.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하여 상속세를 계산합니다.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상속세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개편 03

면제한도

새로운 면제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배우자 및 직계존속: 5억 원
  • 형제자매: 1억 원
  • 기타 친족 및 이인: 5천만 원

 

면제한도의 변경으로 인해 상속세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공제

상속세 공제항목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 기본공제
  • 자녀공제: 5천만 원에서 5억 원으로 상향
  • 배우자공제
  • 혼인 및 출산 증여 재산공제: 1억 원 추가 공제

 

공제 항목이 확대됨에 따라 상속세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 절세 전략을 세우세요​​.

신고방법

상속세 신고는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해야 합니다. 신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 필요한 서류(상속재산 목록, 평가서 등)를 첨부합니다.
  • 세무서를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합니다.

전자신고 시에는 세무서 방문 없이도 처리가 가능합니다. 정확한 신고를 통해 불이익을 방지하세요.

 

상속세 개편 04

신고 기간

상속세 신고 기간은 상속 개시일로부터 6개월입니다. 기간 내에 신고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신고 기간 내에 모든 절차를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속세 개편안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상속세율 인하와 공제 확대는 큰 혜택을 줄 수 있지만, 고액 자산가에게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상속세에 대한 정보를 잘 이해하고, 정확한 신고와 절세 전략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추가 정보는 국세청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글 확인하기

 

세액공제 소득공제 2024년 최신 변경사항: 연말정산 혜택 알아보기

목차 최근 세법심사 과정에서 몇 가지 새로운 세법개정 조항들이 신설 의결되었습니다. 이번에 의결된 2024년 세액공제 변경안은 지난 7월에 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도 세법개정안에는 담기지 않

circle2.tistory.com

 

현금영수증 연말정산준비하기

1. 들어가기에 앞서 어느덧 2023년이 2주 남짓으로 다가왔다. 2022년도 올해도 다가고 이는 이 시점인데 이때쯤 되면 생각나는 것이 바로 연말정산일 것이다. 연말정산에 익숙하지 않은 사회초년생

circle2.tistory.com

 

300x250

댓글